선언형, 명령형 코드 그리고 추상화

회사 프론트 동료들과 추상화와 선언적인 코드의 관계에 대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머릿속에 추상적으로 있던 개념이 좀 각이 잡혀서 ㅎㅎ 한 번 글로 적어보려 합니다.

선언형이 뭐냐?

가장 많이들 알고 있는 정의는 How/What 키워드죠.

명령형은 어떻게(How)에, 선언형은 무엇을(What)에 집중합니다

이렇게 보면 어떤 코드는 명령형이고, 어떤 코드는 선언형인지 무 자르듯이 나뉠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선언형이란 명령형 코드에서 ‘어떻게’를 감추고 ‘무엇을’만 노출하는 방식의 추상화(일종의 리팩토링)입니다.

기둥 뒤에 공간있어요 (선언형 안에 명령형 있어요…)

실생활로 예시를 들어보자

  • 명령형: “내 앞의 테이블을 하나씩 확인해서 4명 자리가 있다면 그 테이블로 걸어가서 앉는다”
  • 선언형: “4명 자리에 앉을게요”

선언형에선 마법처럼 테이블 확인이 끝난게 아니고, 내부에서 명령형 로직으로 구현이 되어있음을 가정한 것입니다.

코드로 예시를 들어보자

  • 명령형: “배열에 있는 모든 숫자를 하나씩 제곱해서 result배열에 넣는다”
function double(arr) {
  let results = []
  for (let i = 0; i < arr.length; i++) {
    results.push(arr[i] * 2)
  }
  return results
}
  • 선언형: “숫자가 제곱된다. 모든 배열에서.”
function double(arr) {
  return arr.map(item => item * 2)
}

여기서도 선언형이 마법처럼 모든 배열을 순회해준게 아니라, map이란 함수에서 내부적으로 명령형으로 for문을 돌았습니다.

그럼 함수로 묶으면 선언적이게 되냐?

그렇다면 What만 이름/인자에 노출하고, How는 함수 내부에 때려박으면 그건 선언형으로 리팩토링 한걸까요?

위의 실생활 예시를 다시 가져와볼게요.

let myPosition

// 4인 테이블이 보일때까지 테이블을 순회한다
for (let i = 0; i < tables.length; i++) {
  if (tables[i].emptySeat >= 4) {
    myPosition = tables[i].position
  }
}

이 코드가 명령형이라는건 다들 느낌 올 거예요.

근데 그렇다면 다음과 같이 How를 감추고 What만 노출한 함수를 만든다면 ‘선언적 코드’라고 할 수 있을까요?

moveToEmptyTable(myPosition, tables)

좀 애매하쥬?

hmm cat

선언적 코드의 추가 조건: 순수하길 바라 >_<

위키피디아에서 Declarative programming을 검색해보면

선언적 프로그래밍은 ‘명령형이 아닌 스타일’ 외에도 대중적인 정의들이 몇 가지 더 있다

  • A high-level program that describes what a computation should perform.
  • Any programming language that lacks side effects (or more specifically, is referentially transparent)
  • A language with a clear correspondence to mathematical logic.

여기서 새롭게 주목할만한 곳은 두 번째 불렛인데, 사이드 이펙트가 적고 순수하다라는 포인트 입니다.

moveToEmptyTable(myPosition, tables)

위 함수는 왜 충분히 선언적이지 못할까요?

여러 번 불렀을 때, 혹은 다양한 상황에서 불렀을 때 다른 결과물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충분히 재사용하기가 어려워졌죠.

예를 들어 빈 자리에 이미 앉아있는 경우에 또 moveToEmptyTable을 호출했다면 그 다음에 있는 빈 자리를 찾아갈지, 아니면 아예 꼬여버릴지 모르는 코드이기 때문이에요.

언제 불러도 같은 결과를 줄 수 있는 함수로 리팩토링해본다면, 다음과 같이 두 함수로 쪼개면 어떨까요?

const emptyTablePosition = getEmptyTablePosition(tables)
move(me, emptyTablePosition)
  • 코드의 절차적인 순서에 상관 없이 언제 어디서 불러도 동일한 결과물을 주고 (재사용성 up!)
  • What이 함수명에 적절히 표현되었으며
  • 세부 구현은 함수 내부에 추상화 된

코드가 되었네요.

선언적 함수의 또 다른 특징: 코드순서 노상관

‘절차적인 순서’ 키워드를 좀 더 얘기해볼게요.

라인 바이 라인의 코드 순서가 중요하지 않아질수록 더 선언적이게 됩니다.

순서 의존도가 없기 때문에 사이드이펙트도 줄어들고 이해하기도 쉬워지구요.

예를 들면, 리액트 컴포넌트의 prop은 순서에 상관 없이 동일한 동작을 하죠?

<Modal
  title="뭐먹지"
  onClick={() => alert("짬뽕")}
  description="중국음식?"
>

여기서 title, onclick, description 의 코드 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저 필요한 명세를 때려박으면 되어요.

명령형 추상화, 선언형 추상화

기본 구현을 명령형으로 추상화, 선언형으로 추상화 해보면서 확실히 이해해볼게요.

동, 읍, 면 Input이 있고, 동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읍으로, 읍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면으로 넘어가는 코드입니다.

(Original) 명령형 코드

if (value.length < maxLength) {
  return
}
if (cursorPosition === "동") {
  읍input.focus()
  읍input.selectionStart = 읍input.value.length
} else if (cursorPosition === "읍") {
  면input.focus()
  면input.selectionStart = 면input.value.length
}

(Refactor - A) 명령형 추상화

const isInputFull = value.length === maxLength
if (!isInputFull) {
  return
}
if (cursorPosition === "동") {
  moveToInput("읍")
} else if (cursorPosition === "읍") {
  moveToInput("면")
}

(Refactor - B) 선언형 추상화

<Input name="" onFull={() => moveFocusTo('읍')}/>
<Input name="" onFull={() => moveFocusTo('면')}/>
<Input name=""/>

정답은 없습니다 ㅎㅎ 여러분은 위와 다른 방식으로 선언형 추상화를 해보셔도 좋겠어요.

정리

그럼 정리 해볼게요.

명령형 코드를

  • What을 적절히 인터페이스에 노출하면서
  • How를 내부에 감추고
  • 언제 어디서 불러도 동일한 결과가 나와서 재사용하기 편하게 추상화 한다면

적당~히 만족스러운 선언적 코드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ㅋㅋ

선언형이 명령형보다 진보한 코드 스타일이라는건 아니에요.

필요한 만큼 어느 레벨까지 추상화하면 좋을까- 라는 Case by case별로 다른 문제입니다.

다만 복잡한 웹 코드를 선언적으로 짰을 때 읽기도, 디버깅하기도, 재사용하기도 좋다는 장점이 있죠.

명령형 코드는 흐름을 따라가면서 읽어줘야하는, 시간축이라는 레이어가 추가되어 있으니까요.

그럼 오늘도 Happy coding!

Thanks to

논의를 꺼내준 유성님, 함께 발전시켜준 병철님 창영님 땡큐쓰


Profile picture

진유림 a.k.a 테니스치다 손목 삔, 풋살하다 인대 나간 개발자 twitter

With love, Yurim Jin